[Linux]파일 시스템 관련 명령어

2021. 3. 11. 23:12자격증/LinuxMaster 2급

fdisk명령어

 - 하드디스크에 대한 정보 확인파티션 추가/삭제에 대한 명령어

 - fdisk 문법

fdisk [옵션] 장치

fdisk -l : 파티션 정보출력

fdisk -s : 특정 파티션의 크기(size) 출력

fdisk -t : 지정된 파티션 테이블 유형만 인식
   *테이블 유형 : ext / ext2 / ext3 / ext4 등

fdisk -v : fdisk 버전(version) 출력

 

 

 

mkfs명령어

 - 새로운 파일 시스템을 만드는 명령어

 - mkfs 문법

mkfs [옵션] 장치

mkfs -c : 배드블록 체크 후 파일 시스템 생성

mkfs -t [파일시스템 유형] : 파일 시스템 유형을 지정하는 옵션
파일 시스템을 지정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ext2 유형으로 생성됨

mkfs -v : 상세히 출력(verbose)

 

 

 

mke2f명령어

 - ext2, ext3, ext4 파일 시스템을 만드는 명령어

 - mke2fs 문법

mke2fs [옵션] 장치

mke2fs -b : 블록사이즈 지정(1028, 2048, 4096)

mke2fs -j : 저널링파일시스템(ext3)으로 만듦

mke2fs -t : 파일 시스템의 유형을 지정
             * 파일 시스템을 지정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ext2 유형으로 생성됨

 

 

 

저널링파일시스템(Journaling File System)

 - 변경사항을 적용하기 전에 저널이라고 부르는 로그에 해당 변경사항을 저장하여 확인

수 있도록 하는 파일 시스템 → 데이터 복구가 용이해짐

 

 

 

파일 시스템 종류

minix → ext  → ext2 → ext3  → ext4

minix
        - 초기 리눅스 파일 시스템의 모체
ext3
        - 저널링 파일 시스템이 탑재되어 있음
        - 접근 제어를 지원하는 ext2의 확장형 파일 시스템
ext4
        - ext2, ext3와 호환 가능
        - 대형 파일 시스템을 위한 파일 시스템

 

 

 

예제

1 mkfs -t ext4 /dev/sda1 /dev/sda1을 ext4유형의 파일 시스템으로 생성
2 mke2fs - j -b 2048 /dev/sda1 /dev/sda1을 저널링파일시스템(ext3 유형), 블록사이즈는 2048바이트로 생성
3 mke2fs -t ext4 /dev/sda1 /dev/sda1을 ext4유형의 파일 시스템으로 생성
(1번 명령어 실행 시 실제로는 이 명령이 실행됨)
4 mke2fs /dev/sda1 /dev/sda1을 ext2유형의 파일 시스템으로 생성

 

'자격증 > LinuxMaster 2급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Linux] chmod명령어 옵션  (0) 2021.02.23
[Linux]쉘의 종류와 특징  (0) 2021.02.23
[Linux] 사용자 명령 전달 과정  (0) 2021.02.23
[Linux]쿼터(quota) 설정 명령어  (0) 2021.02.2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