자격증/LinuxMaster 2급(5)
-
[Linux]파일 시스템 관련 명령어
fdisk명령어 - 하드디스크에 대한 정보 확인 및 파티션 추가/삭제에 대한 명령어 - fdisk 문법 fdisk [옵션] 장치 fdisk -l : 파티션 정보출력 fdisk -s : 특정 파티션의 크기(size) 출력 fdisk -t : 지정된 파티션 테이블 유형만 인식 *테이블 유형 : ext / ext2 / ext3 / ext4 등 fdisk -v : fdisk 버전(version) 출력 mkfs명령어 - 새로운 파일 시스템을 만드는 명령어 - mkfs 문법 mkfs [옵션] 장치 mkfs -c : 배드블록 체크 후 파일 시스템 생성 mkfs -t [파일시스템 유형] : 파일 시스템 유형을 지정하는 옵션 * 파일 시스템을 지정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ext2 유형으로 생성됨 mkfs -v : 상세히 출..
2021.03.11 -
[Linux] chmod명령어 옵션
chmod 명령어 chmod [옵션][모드][파일] - 파일/디렉터리의 접근 권한을 변경하는 명령어 - 지정한 파일/디렉터리에 대한 파일소유자, 파일 그룹, 다른 사용자의 접근 권한을 설정할 수 있음 - 파일의 소유자, 시스템 관리자만 사용 가능 chmod 명령어 옵션 -R : 선택된 파일 또는 폴더의 하위 파일 또는 폴더의 모든 파일의 접근 권한을 변경 chmod -R [8비트 숫자][파일이름 또는 폴더이름] chomod -R [계정이름][파일이름 또는 폴더이름] -c : 권한이 바뀐 파일만 자세히 기술 -f : 파일의 권한이 바뀔 수 없어도 에러 메세지를 출력하지 않는다.
2021.02.23 -
[Linux]쉘의 종류와 특징
sh(Bourne Shell, 본쉘) - 강력한 명령어 프로그래밍 언어 기능임 - 상호 대화형 방식이 아님 csh(c shell, 씨 쉘) - C언어 / sh과 매우 유사 - 상호 대화형 방식임 Tcsh(Tenex c shell, 터넥스 씨 쉘) - 확장된 csh - 명령행 편집 기능을 제공 *명령행 편집 기능이란? ^a : 명령행의 처음으로 이동 ^e : 명령행의 끝으로 이동 ^k : 명령행 오른쪽 전체 삭제 ^u : 명령행 전체 삭제 ^w : 명령행의 왼쪽 단어 삭제 bash(바쉬, 배쉬) - GNU에 의해 개발/배포 - sh을 기본으로 ksh과 csh의 장점이 결합된 표준 쉘 ksh(Korn shell, 콘쉘) - 확장된 sh(쉘) - csh의 특징을 모두 제공 - 처리 속도가..
2021.02.23 -
[Linux] 사용자 명령 전달 과정
사용자 명령이 시스템에 전달되는 과정 터미널(Terminal) → 디바이스 드라이버(Device Driver) → 쉘(Shell) → 리눅스 커널(Linux Kernel) - 디바이스 드라이버(Device Driver) ·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자가 수행할 수 있는 것인지 판별(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를 수신하고 해석함) · 터미널을 제어 - 쉘(Shell) · 사용자와 운영체제를 연결해주는 명령어 해석기 역할 - 커널(Kernel) · 운영체제의 핵심 · 명령 수행 후 결과를 쉘에 전송
2021.02.23 -
[Linux]쿼터(quota) 설정 명령어
쿼터(Quota)란? - 파일시스템마다 사용자나 그룹이 생성할 수 있는 파일의 용량,개수를 제한하는 것 쿼터 설정 관련 명령어 □ quota(쿼터) 현재 사용자의 쿼터 정보를 출력 □ repquota(립쿼터) 쿼터 정보를 요약하여 출력 □ quotacheck(쿼터체크) 쿼터 데이터베이스를 생성/수정/확인 □ quotaon(쿼터온) 파일 시스템의 쿼터 기능을 활성화 □ edquota(에드쿼터) vi 편집기를 사용하여 쿼터를 설정 □ edquota -p user1의 쿼터 정보를 user2에 복사 * -p는 prototype의 'p'를 의미 EX1. repquota /etc ⇒ etc에 설정된 쿼터 정보들을 출력해라! EX2. repquota -g/home ⇒ home에 설정된 ..
2021.02.23